Title 수계 세균 군집에 미치는 산성화 영향 모사 분석
Author 안영범 · 조홍범¹ · 최영길 *
Address 한양대학교 생물학과; 서울대학교 분자미생물학 연구센터; ¹서경대학교 생물공학과
Bibliography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34(4),175-182, 1998
DOI
Key Words 수계 세균 군집에 미치는 산성화 영향 모사 분석
Abstract 산성비의 문제는 국제적 관심사이며, 한국에서도 국내 오염원 뿐 아니라, 주변 국가의 월경성 오염물질의 영향에 의한 산성비의 가시적 피해가 농작물, 및 산림 등 다양한 생태계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4, 16, 17, 59). 산성비의 형향에 대한 국내 연구는, 국내의 오염 발생원 뿐 아니라 중국을 비롯한 주변 국가에서 유입하는 장거리 이동 오염물질에 대한 연구(5), 지역별 강우의 산도, 전기 전도도, 화학 성분의 분석, 및 오염원의 대기 확산 모델, 산성 침적 모델 등 물리 · 화학적 접근(1,2,7,10) 분야에서 매우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아울러 산성비에 의한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는 농업, 산림 등 육상 생태계 분야에서도 많은 연구가 있었다(6,8,9,13,14,15). 반면에 강, 호소수와 같은 담수 생테계에 있어서의 산성화 진행 기작과 그에 따른 생태계의 구조 및 기능의 변화 등에 대해서는 국내 연구가 매우 미진하나(11,12,19). 이는 국내 호소수 대부분이 부영양화 되었거나 진행중에 있어서 계절적으로 반복되는 수화현상 등의 영향으로 중성에서 염기성으로 변동이 매우 심하여(56), 산성 광산 배수의 영향을 받는 국소적 지역 이외에는 가시적인 산성화 피해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우의 산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향후 국내 호소수의 산성침적(acidit precipitation)은 가속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수계 산성화에 의한 피해는 신속하게 나타나거나 급변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누적된 오염효과가 서서히 마비상태로 나타나 대형 피해를 입히는 것이 특징이므로(49), 산성화 진행과 연관하여 호소수 생태계의 세균군집 구조와 기능을 예측하는 연구는 한국의 현에서 필요한 과제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산성비에 관련한 역사적 배경과 각국의 대책 등 국제적 연구 동향의 고찰을 통해 국내 실정에 적합한 연구방법과 분석방법의 제시 및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의 하나로서 본 저자들이 직접 적용한 산성화 예측 모델 system 및 모사 분석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Download PDF Kor_340401_175-182p.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