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치료벡터의 생식독성 연구
Author 이규식1*, 곽승준1, 김순선1, 이이다1, 석지현1, 채수영1, 정수연1, 김승희1, 이승훈2, and 박귀례3
Address 1국립독성연구원 생식독성팀, 2용인대학교 생명과학과, 3국립독성연구원 면역독성팀
Bibliography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43(3),151-158, 2007
DOI
Key Words adenoviral vector, germ-line transmission, reproductive toxicity
Abstract 유전자치료벡터의 주입시 생식세포를 통한 다음 세대로의 전달 가능성은 안전성 측면에서 관심을 증대시키고있다. 특히 전립선암이나 난소암의 치료시 바이러스를 생식기관에 인접한 부위에 주입하여야 하므로 그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치료에 많이 이용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매개로 하여 tumor suppressor 유전자인 p53을 발현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제조하여 이를 투여시 생식장기를 포함한 주요 장기조직에의 분포와 germ cell을 통한 차세대로의 전달 가능성 등의 생식독성을 조사하였다. In vivo biodistribution study를 위하여 Ad-CMV-β-gal 혹은 Ad-CMV-p53를 마우스 암·수의 복강에 주사한 후 생식장기를 포함한 주요 장기에서 아데노바이러스 유래 DNA 검출 및 RNA 발현 여부를 PCR과 RT-PCR로 각각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간 및 비장과 같은 일반 장기에서도 주입한 외부유전자의 DNA가 검출되거나 RNA가 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낭, 전립선, 부고환, 난소 및 자궁 등의 생식장기에서도 주입한 외부유전자가 검출되거나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각 장기에서의 투여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는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정량하였다. Ad-CMV-p53를 암·수 마우스의 난소와 고환에 각각 직접 주사하여 교배시킨 후 그 후세대의 DNA를 분리하여 주입한 아데노바이러스 유래의 DNA를 검색한 결과, 어떠한 차세대에서도 주입한 아데노바이러스 유래의 DNA가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생식장기에서의 PCR 및 RT-PCR signal 유래 vector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매우 감도가 높은 in-situ PCR로 조사한 결과 고환의 경우 간질조직으로의 전달은 일어나나 정세관 내에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가 전달되지 않으며, 난소에서도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는 난포 내의 난자에 전달되지 않고 기질조직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복제 능력이 결여된 아데노바이러스를 매개로 한 유전자치료제는 생식장기에서 검출되더라도 다음 세대로 전달될 가능성은 대단히 낮음을 제시한다.
Download PDF 43(3)-01(p.151-158).pdf